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경과 신경외과 차이점 완벽 정리 진료과목부터 치료대상까지

by health4
반응형

병원 진료과를 선택할 때 가장 혼동하기 쉬운 두 과목이 바로 신경과와 신경외과입니다. 특히 ‘신경’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두 진료과의 차이점을 헷갈리거나 동일한 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신경과와 신경외과는 진료방식, 치료대상, 수술 여부 등에 따라 완전히 다른 전문분야입니다.

1. 신경과란? – 뇌와 신경계의 기능 문제를 다루는 내과적 진료과

신경과는 뇌, 척수, 말초신경, 자율신경계에 발생하는 기능 이상을 약물, 물리치료, 전기생리 검사 등 비수술적 방법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내과계열 진료과입니다.

신경과 진료과목
  • 치매, 알츠하이머병, 기억력장애
  • 파킨슨병, 본태성 손떨림 등 운동장애
  • 두통, 긴장성 두통, 편두통
  • 뇌졸중 전조증상, 일과성허혈발작(TIA)
  • 어지럼증, 실신, 이명
  • 간질(뇌전증), 의식장애
  • 손발 저림, 말초신경병증, 당뇨성 신경통
  • 수면장애, 기면증, 하지불안증후군

신경과 치료 방식
  •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심리검사
  • 뇌파검사, 경동맥 초음파, 뇌혈류검사
  • MRI/CT 촬영 후 수술이 아닌 치료방향 수립

신경과는 수술 없이 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를 지향합니다. 즉, 수술 없이도 회복 가능한 질환은 대부분 신경과 진료 대상입니다.

반응형

2. 신경외과란? – 뇌와 척추의 외과적 수술을 전문으로 하는 진료과

신경외과는 뇌, 척수, 말초신경계에 생긴 구조적 이상을 외과적 수술 또는 시술로 치료하는 외과계열 진료과입니다. 외상, 종양, 뇌출혈 등 응급상황이나 외과적 개입이 필요한 질환을 주로 다룹니다.

신경외과 진료과목
  • 뇌출혈, 외상성 뇌손상, 경막하출혈
  • 뇌종양(교모세포종, 수막종 등)
  • 척추디스크, 협착증, 척수종양
  • 뇌동맥류, 뇌혈관기형
  • 삼차신경통, 안면경련
  • 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인한 두부 외상
  • 요추천자술, 수술 후 재활치료

신경외과 치료 방식
  • CT, MRI, 혈관조영술 등을 통한 영상진단
  • 개두술, 내시경수술, 현미경수술 등 고난도 수술
  • 뇌혈관 스텐트 삽입, 혈전 제거술

신경외과는 신속한 수술 처치가 생명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응급환자 대응 역량도 매우 중요합니다.

 

3. 신경과 신경외과 차이점 – 어떤 기준으로 나눌까?

구분 신경과 신경외과
진료 방향 내과적 치료 외과적 수술 중심
중점 분야 뇌기능 장애 및 신경계 이상 구조적 병변 및 수술 대상
대표 질환 치매, 두통, 어지럼증, 파킨슨병 뇌출혈, 척추디스크, 종양, 외상
주요 검사 뇌파검사, 혈류검사, 인지기능검사 MRI, CT, 혈관조영술
치료 방식 약물, 재활, 인지치료 수술, 시술, 시급한 개입
응급상황 대응 수술이 필요한 경우 신경외과 의뢰 응급수술 직접 시행
핵심 차이점수술 여부’입니다. 증상이 비슷하더라도 치료 접근방식에 따라 신경과 또는 신경외과로 나뉘게 됩니다.

 

 

4. 어떤 증상일 때 신경과? 어떤 증상일 때 신경외과?

신경과를 가야 할 증상 예시
  • 자꾸 깜빡깜빡하고 말이 느려짐 → 치매 의심
  • 몸이 떨리고 움직임이 느림 → 파킨슨병 가능성
  • 자꾸 한쪽 머리가 쿡쿡 쑤시는 두통
  • 갑자기 어지럽고 중심을 못 잡는 경우
  • 수면 중 움직임이 많고 피로감이 누적되는 경우
  • 손발 저림, 말초신경 손상 가능성
  • 이전부터 간질, 뇌전증 진단을 받은 경우
신경외과를 가야 할 증상 예시
  • 심한 머리 외상을 입은 경우
  • CT상 뇌출혈 진단을 받은 경우
  • 디스크로 인한 다리 마비나 극심한 통증
  • 척추관협착증으로 걷기 힘든 상황
  •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뇌종양
  • 뇌혈관 파열, 뇌동맥류 의심 증상
  • 급성 허리통증으로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

TIP: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 종합병원 신경과를 우선 방문 후 수술적 개입이 필요한 경우 신경외과로 전과되는 시스템이 일반적입니다.

 

5. 신경과 신경외과 진료 흐름과 협진 가능성

신경과와 신경외과는 전혀 다른 과이지만, 때로는 상호 협진이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뇌졸중 환자가 신경외과 수술 후 회복기에 접어들면 신경과에서 약물 및 인지 재활치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또한 척추디스크 환자가 처음에는 정형외과→신경외과→신경과 재활의학과 협진으로 치료가 이어지기도 합니다. 현대 의료 시스템은 각 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증상 초기에 적절한 과 선택이 치료 결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 두통이 있을 때 신경과, 신경외과 중 어디로 가야 하나요?
  •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신경과가 적절합니다. 단, 외상 후 두통이나 CT상 병변이 있으면 신경외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Q. 파킨슨병은 어떤 과에 가야 하나요?
  • 약물 치료가 핵심이므로 신경과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맞습니다.
Q. 디스크로 수술을 고민 중인데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중 어디가 좋을까요?
  • 정형외과는 뼈 중심, 신경외과는 척추 및 신경 압박 관련 수술을 전문으로 합니다. 증상이 신경 중심이라면 신경외과가 적절합니다.

 


신경과 신경외과 차이를 이해하면 진료 방향이 보인다

‘신경’이라는 단어가 같다고 해서 같은 진료과로 오해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신경과는 약물 중심의 기능적 치료, 신경외과는 수술 중심의 구조적 치료라는 점만 기억해도 병원 선택이 훨씬 쉬워집니다.

  • 어지럼증, 두통, 치매 증상 → 신경과
  • 사고, 뇌출혈, 종양, 디스크 → 신경외과
  • 헷갈린다면? 종합병원 초진은 신경과에서 시작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